
아시아, 특히 한국과 중화권은 세계에서 가장 저출산 경향이 강한 지역이다. 전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기록한 지역은 중국의 동북 3성으로, 2015년 출산율이 0.55명이었다고 한다. 이 3개의 성은 총인구가 1억명 정도인데도 1년 총출생아수가 60만이 안되는데, 이는 한국이 인구 4천 7백만, 출산율 1.31명이던 시절인 2001년의 한국 출생아수와 비슷한 것이다. 한국에서 가장 출산율이 낮은 지역인 서울도 출산율이 2018년 기준 0.761명, 관악구도 0.597명이다. 아시아 국가들은 홍콩과 마카오, 싱가포르 등을 제외하면 해당 국가 국민들이 타 문화에 배타적이며, 이민에도 거부감을 표시하고 있기에 출산율을 증가할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한국의 경우 정부와 재계에서 노동이민을 장기적으로 추진하고자 하였으나, 성비 불균형에 의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다문화가정 지원 특혜 문제부터 일부 시민들의 상당한 반발에 부딪혔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지원은 노동력 부족을 이유로, 그리고 한국 정치권에서는 국민 여론 일각의 반발을 무시하고 이민도 노동력 부족을 이유로 수용하는 정책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무분별한 이민자들의 수용으로 인해 생기는 범죄, 삶의 질 저하 등등 뒷세대가 감당할 문제는 생각조차 안한다는 반대 의견이 있다. 실제 유럽 국가들도 이런 문제를 겪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들을 대표적으로 보여준 사례가 2015년 11월 파리 테러. 다만 인구 10만 이하의 소도시나 군단위 농촌지역 에서는 불체자의 존재를 알고도 눈감아 줄 정도로 외국인 노동자와 국제결혼에 호의적이다. 제아무리 갈 곳 없는 mz세대라지만, 소도시나 농촌에서 3D노동을 하느니 대도시에서 알바만 하는 것이 낫기에 일자리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1950년대 중반까지 베이비 붐 시기를 겪은 이후 2명 대 초중반의 출산율을 기록하다 1970년대 중반부터 합계출산율이 2 이하로 떨어졌다. 거품경제가 붕괴되면서 1990년대 이후 경제위기로 취업난이 시작되었다. 청년 취업난이 지속되면서 니트족, 프리터족, 알바족, 캥거루족 등의 새로운 유형의 청년층이 등장했고, 이들 경제적으로 어려운 청년층의 증가는 저출산 현상으로 이어졌다. 또한 집과 자동차를 구매하는데에도 흥미를 느끼지 못해 1994년에는 아파트 가격이 붕괴한 버블 붕괴 사태가 발생했다. 일본에서는 한때 매년 20만 명씩 이민을 받아야 된다는 의견이 나왔으나 극심한 반발을 겪고 수용되지 못하고 있다. 1990년대 일본의 각 지자체에서 출산장려금도 지급하고 했으나, 저출산 현상이 계속되어 2005년에는 인구감소가 시작되었다. 이 때문에 이 현상을 분석한 도서가 나올 정도이다.
그나마 일본이 동아시아에서는 북한을 제외하면 저출산 경향이 가장 약하다. 직업에 대한 서열 의식이 비교적 낮고, 가족 관계에서 금전 지출이 헌신적이라기보다는 경제성을 철저히 고려하는 계산적인 면이 강하다는 것이 거론된다. 전자로 인해 사교육 걱정이 한국과 중화권보다는 낮고, 후자로 인해 연금을 잘 타는 등 노후 준비가 더 유리한 면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도 일본도 중부 유럽~남유럽 사이를 오가는 합계출산율 추세를 보인다. 오키나와현은 서구 최고 수준인 프랑스에 준하는 출산율로 일본에서도 특이하게 출산율이 높은 곳으로 꼽힌다. 일본에서 가장 출산율이 낮은 지자체가 세종을 빼면 한국에서 가장 출산율이 높은 지자체와 출산율이 비슷하다. 그러면서 집값을 비교하는데, 도쿄가 집값이 싸다고 가정해도 한국의 집값이 싼 지방도 도쿄와 출산율이 비슷하거나 낮다. 가령 경상북도, 강원도는 도쿄보다 출산율이 낮다. 그나마 일본보다 출산율이 높은 적 있던 세종시도 출산율이 급감하여 2020년 1.28명의 합계출산율을 기록했다. 이는 2020년 일본의 1.34명보다 낮은 수치다.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의 합계출산율은 2003년에 이미 저출산화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이나 태국(1.38)에서도 출산율이 인구치환 수준을 밑돈다. 싱가포르는 임대 주택에 국민의 과반수가 사는데도 출산율이 낮은 특이한 현상을 보인다. 2019년 기준 싱가포르의 출산율은 1.14명이다. 여전히 많은 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출생률이 인구치환 수준을 웃돌지만 저하 경향에 놓여있는 있는 나라 역시 많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저출산은 1가구 1자녀 정책에 따른 강력한 인구 억제가 가장 큰 요인이라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1가구 1자녀 정책이 시행되던 1978~1980년대 이전인 1960년대 중후반부터 출산율이 급격한 감소를 보인점과, 1자녀 정책까지 추진하지 않았던 대만도 저출산 경향을 보이는 점을 들어 1자녀 정책이 없었어도 지금과 비슷한 저출산이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학력 인플레, 사회 고도화에 따른 양육 비용 증가에 따라 자연스럽게 출산율이 감소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중국은 시골은 출산율이 높지만 2010년대 초반 기준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와 동북 3성은 0.8~0.9명대 출산율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2010년 센서스에 따르면 조선족의 출산율은 0.622명이었는데, 인근 지린성의 출산율은 0.76명, 만주족의 출산율은 0.924명이었다고 한다. 조선족과 만주족은 소수민족이라 1자녀 정책의 적용을 약하게 받은 점을 감안하면 특이한 수치다. 2100년에 인구가 7억명으로 감소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중국 정부가 2021년 5월 말에 3자녀 정책을 시행하자, 이에 반발한 중국인들이 당평 운동을 했다.
대만에서는 출생아수 급감으로 2010년 0.895명을 기록하며 마카오에 이은 두 번째 0.8명대에 진입했다. 이후 홍콩, 대한민국이 0.8대를 찍으며 3번째 0.8명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