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금융.경제

파생결합증권 시장, 3분기 현황 및 전망

 

홍콩H지수 ELS 불완전판매

 

금감원, 3분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 발표

금융감독원은 22일 발표한 자료를 통해 3분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 및 운용 현황을 공개했다. 특히 홍콩H지수를 편입한 주가연계증권(ELS) 중에서 발생한 녹인(Knock-In)의 규모는 6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5조9000억원이 내년 상반기에 만기가 도래할 전망이다.

홍콩H지수 연계 ELS, 녹인 발생과 만기 도래

금감원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녹인이 발생한 파생결합증권 잔액은 6조8000억원으로 전체 파생결합증권의 7.2% 수준이다. 특히 홍콩H지수 급락으로 H지수 편입 ELS에서 발생한 녹인은 6조2000억원으로 이 중 87.8%(5조9000억원)의 만기는 내년 상반기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지난해 말 기준 녹인 발생 잔액 7조3000억원 중 일부가 만기 도래로 상환돼 녹인 잔액은 전년 말보다 5000억원 줄었다.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의 투자 리스크

홍콩H지수 연계 ELS에서 내년 상반기 대규모 손실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홍콩지수 ELS 피해자들이 집회를 열었다. 금융감독원은 파생결합증권 투자자 손실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다.

3분기 전체 파생결합증권 발행과 상환액

3분기 전체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13조2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조1000억원 감소했다. 시장 불확실성 증가로 미국 국채 금리 등에 대한 불안이 확산되면서 투자 수요가 위축된 영향이 크다. 상환액도 15조원으로 3조1000억원 감소했다.

ELS 발행액은 9조9000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2조3000억원 감소했다. 특히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 증가로 인해 원금 비보장형 ELS 발행액이 2조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가 지수 등으로만 이뤄진 지수형 ELS 발행액이 7조3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기초자산이 3개인 ELS의 발행 규모의 58.6%를 차지했다.

기초자산별 발행 규모 및 최근 동향

기초자산별로는 S&P 500 지수가 6조2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유로스톡스, 닛케이225, 코스피200, 홍콩H지수가 뒤를 이었다. 최근 일본 증시 상승으로 닛케이225 편입 ELS 발행액이 증가했으며, H지수 편입 발행 규모는 중국 경기 둔화 우려로 33.8% 감소했다.

녹인형 ELS와 상환액 추이

상품구조별로는 녹인형 ELS 발행액이 2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2000억원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H지수 연계 ELS에서 녹인이 발생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녹인 상품에 대한 투자자 수요가 감소한 가운데, 녹인 배리어가 50% 이하인 저녹인형이 99%를 차지하고 있다.

ELS와 DLS의 상환액 및 발행 잔액

3분기 ELS 상환액은 11조6000억원으로 직전 분기보다 1조5000억원 줄었다. 조기 상환 규모는 9조7000억원으로 전 분기와 동일한 수준이다. 만기 상환은 1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말 기준 ELS 발행잔액은 63조9000억원으로 6월 말보다 2조1000억원(3.1%) 감소했다. 이는 올해 들어 순상환이 지속돼 발행 잔액이 계속해서 줄고 있는 추세다.

DLS 발행 규모와 자체 헤지 상황

3분기 파생결합증권(DLS) 발행 규모는 3조2000억으로 직전 분기보다 9000억원 감소했다. 금리가 기초자산으로 가장 많았으며, 상환액은 3조4000억원으로 2분기보다 1조6000억원 줄었다. DLS 발행잔액은 30조원으로 직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 중 자체 헤지 규모는 56조2000억원으로 2분기 말보다 5000억원 줄었다. 자체 헤지의 비중은 59.8%로 안정적인 상황을 보이고 있으며, 백투백 헤지 거래 상대방은 외국계가 77.6%를 차지했다.

투자 수익률과 금감원의 전망

9월 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 자금 운용자산의 전체 평가 금액은 91조7000억원이며, 부채평가액(88조2000억원)보다 3조5000억원 많다. 헤지 자산은 채권이 78조2000억원으로 가장 많으며, 대부분 국내 채권(91.6%)이다. 3분기 ELS와 DLS의 투자 수익률은 각각 연 6.1%, 4.9%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최근 증가하는 닛케이225 편입 ELS와 관련해 향후 변동성 증대 시 투자자 손실 가능성이 있다며, 모니터링과 투자자 위험 고지를 강화할 것이라 밝혔다. 현재 파생결합증권 시장은 시장 변동성과 금리 등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신중한 투자와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점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