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건.사회.정치.역사.인물

중국 동포 혐오 표현, 이제는 법적 제재 필요

경기도 화성시청에 설치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추모 분향소에서 추모객들이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있다.

화성 아리셀 공장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인해 23명이 사망했으며, 그중 17명은 중국 동포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사건 이후, 온라인에서는 "중국인이 불을 지른 건지 확인하라"는 등의 혐오 표현이 급속히 확산되었습니다. 한 누리꾼은 “한국말 잘하는 중국인에게 조선족, 동포라는 감성에 빠진 사람들은 제발 정신 좀 차리라”며 분노를 표출했습니다.

 

‘조선족’이라는 표현 대신 ‘중국 동포’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은 2010년 ‘조선족’을 차별 표현으로 보고 ‘중국 동포’나 ‘재중동포’로 표현할 것을 권장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권장에도 불구하고 혐오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영화 ‘청년경찰’과 ‘범죄도시’ 등에서 중국 동포를 범죄자로 묘사하면서 혐오가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이에 서울시는 2018년 ‘조선족’ 대신 ‘중국 동포’를 행정 용어로 사용한다고 고시했습니다. 그럼에도 혐오는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에서의 혐오 표현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신림 흉기 난동 사건 이후, 피의자의 이름이 ‘조선’이라는 이유로 조선족에 대한 혐오가 급증했습니다. 사건과 관련된 기사 댓글에는 “조선족 느낌이 강하다”는 등의 반응이 이어졌습니다.

 

25일 오전 경기 화성시 서신면 일차전지 제조 공장 아리셀 건물이 불에 타 검게 그을려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혐오 표현이 더 이상 인식 개선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지적합니다.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유현재 교수는 “온라인의 혐오 표현은 위험 수위에 이르렀다”며 “이같은 혐오 표현이 범죄라는 것을 인식시키고 법적 제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화성 화재 사건 이후 중국 동포에 대한 혐오 표현이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식 개선뿐만 아니라, 법적 제재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혐오 표현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