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단체가 대북전단을 살포한 후, 북한의 보복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대북전단은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 정지 이후 처음으로 북한 지역으로 넘어간 사례로, 접경지역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북한은 이미 1000여개의 오물풍선을 남한으로 날려보낸 바 있으며, 추가 전단 살포 시 강력히 보복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도발 징후를 면밀히 주시 중이라고 전했다.
우리 군은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 이후, 그동안 제약받았던 군사 활동을 정상화하며 대비태세를 복원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북한의 도발을 억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당장 오물풍선을 날려 보내기보다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실행 계획을 세울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오물풍선을 보낼 가능성과 그렇지 않을 가능성은 반반"이라고 전망했다.
과거에도 남북 간 전단살포 문제는 여러 차례 충돌을 일으켰다. 2014년 북한이 대북전단을 실은 풍선을 향해 고사총을 발사했으며, 2020년에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등의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전단살포 문제가 남북 간 갈등을 증폭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대북전단에는 북한 최고 지도자에 대한 모욕적인 내용이 담겨있어, 북한이 이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이는 북한 주민들의 알권리나 인권개선과는 무관하게 단체의 존재감을 과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향이 있다.
통일부는 대북전단 살포와 관련된 확인 요청에 대해 "확인해드릴 것이 없다"며 개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부 전문가들은 대북전단 살포가 남남갈등을 일으키고, 국가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대북전단과 오물풍선으로 인해 접경지역에서 쓰레기 처리나 차량 파손, 화재 등의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북전단 살포 단체에 구상권을 청구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의 보복 가능성에 대비해 우리 군은 지속적으로 대비태세를 강화하며, 남북 간 긴장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